반응형
객체를 생성할 때 초기화를 위하여, 생성자 라 부르는 특별한 메소드를 제공하여 모든 객체의 초기활르 보장할 수 있다.
인자가 없는 생성자를 디폴트 생성자라 한다.
아무런 생성자를 정의 하지 않으면 컴파일러는 자동으로 디폴트 생성자를 만들어준다.
메소드 오버로딩
인자의 순서만 달라져도 두 메소드의 식별이 가능하다. 하지만 그렇게 하면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기 때문에 보통은 하지않는다.
this 키워드
메소드 호출과 필드 앞에 지나치게 this,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. 그렇게 하는 것이 더 확실하고 명시적이라는 이유에서다. 그러나 그렇게 하지 말자, 우리가 높은 수준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유가 있다. 그런 것을 언어에서 해 주기 때문이다. 만일 필요하지도 않는데 this를 붙인다면, 우리 코드를 읽는 모든 사람들이 혼란스럽고 귀찮게 할 것이다. (일관되고 간단한 코딩 스타일을 따르면 시간과 돈을 절약할 수 있다.)
열거형
자바se5 버전에서 추가된 것 중 하나가 enum 키워드로서 여러 값을 그룹으로 묶어서 열거형 타입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때 매우 유용하다.
public enum Spiciness {
NOT, MILD, MEDINUM, HOT, FLAMING
}
for(Spiciness s : Spriciness.values() ) {
s s.oridinal()
}
switch 문 내부에 enum을 사용할 수 있다.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초보자를 위한 Java프로그래밍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hinking in JAVA 7. 클래스 재사용하기 (0) | 2021.10.01 |
---|---|
Thinking in JAVA 6. 접근제어 (0) | 2021.10.01 |
Thinking in JAVA 4. 프로그램 실행 제어 (0) | 2021.10.01 |
Thinking in JAVA 3. 연산자 (0) | 2021.10.01 |
Thinking in JAVA 2. 모든 것이 객체다. (0) | 2021.10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