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리스트 선언하고 요소에 접근하기
- 대괄호[] 내부에 넣는 자료를 ‘요소’라고 하고 영어로는 element라고 합니다.
예) [요소,요소,요소…]
- 첫째, 대괄호 안에 음수를 넣어 뒤에서부터 요소를 선택할수 있습니다.
- 둘째, 리스트 접근 연산자를 다음과 같이 이중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셋째,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사용할 수 도 있습니다.
- 리스트에 요소 추가하기: append, insert
- 리스트명.append(요소)
- 리스트명.insert(위치,요소)
- 리스트에 요소 추가히기
- 실행결과
리스트에 요소 제거하기
- 인덱스로 제거하기: del, pop
- del 리스트명[인덱스]
- 리스트명.pop(인덱스)
- 값으로 제거하기:remove
- 리스트.remove(값)
- 모두 제거하기:clear
- 리스트.clear()
리스트 내부에 있는지 확인하기 : in/not in 연산자
- 값 in 리스트
- 값 no in 리스트
for 반복문 : 리스트와 함께 사용하기
- for 반복자 in 반복할 수 있는 것:
코드
실행결과
딕셔너리 선언하기
- 딕셔너리는 중괄호{}로 선언하며, ‘키:값’ 현태를 쉼표(,)로 연결해서 만듭니다. 키는 문자열, 숫자, 불 등으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.
- 변수 = {
키:값,
키:값,
…
키:값
}
딕셔너리의 요소에 접근하기
딕셔너리에 값 추가하기 / 제거하기
- 딕셔너리[새로운 키] = 새로운 값
딕셔너리 내부에 키가 있는지 확인하기
실행결과
실행결과
for 반복문 : 딕셔너리와 함께 사용하기
- for 키 변수 in 딕셔너리:
코드
실행결과
범위
- 첫째, 매개변수에 숫자를 한개 넣는 방법
- 0부터 A-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듭니다.
range(A) //A는 숫자
- 둘째, 매개변수에 숫자를 두개 넣는 방법
- A부터 B-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듭니다.
range(A,B) //A,B는 숫자
- 셋째, 매개변수에 숫자를 세 개 넣는 방법
- A부터 B-1까지의 정수로 범위를 만드는데, 앞뒤의 숫자가 C만큼의 차이를 가집니다.
range(A,B,C) //A,B,C는 숫자
실행결과
for 반복문 : 리스트와 범위 조합하기
실행결과
선택 미션157쪽의 1번 문제의 답 쓰고 인증샷
- list_a = [0,1,2,3,4,5,6,7] 입니다. 다음 표의 함수들을 실행했을 때 list_a의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 적어보세요.
반응형